[KNT한국뉴스타임]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은 이번 달부터 11월까지 지리정보시스템(GIS)을 이용한 ‘토양오염실태조사’를 실시한다고 14일 밝혔다.
지리정보시스템(GIS)은 과거 인쇄물 형태로 이용하던 지도와 지리정보를 수치화해 컴퓨터로 작성, 관리하고 여기서 얻은 지리정보를 통해 데이터를 수집, 분석, 가공하는 종합 정보 시스템이다. 이 시스템을 이용하면 우리나라의 다양한 지리 정보를 디지털화해 행정서비스로 활용하기가 쉬워진다.
이렇게 조사된 자료는 해당 시·군에 전달해 시·군이 ‘토양오염실태조사’가 필요한 곳을 선정하는데 활용하게 된다.
올해는 환경부가 도내 중점오염원으로 지정한 산업단지, 공장지역 106개 지점과 교통관련시설지역 100개 지점 등을 포함한 총 301개 지점의 실태 조사를 실시한다. 오염돼 있을 확률이 높은 표토와 심토를 채취해 중금속, 유류, 용제류 등 23개 항목을 조사할 계획이다.
표토는 지면에서부터 15cm 이내의 토양을, 심토는 표토 아래의 토양을 말한다. 용제류는 드라이클리닝의 세척공정에 많이 사용되는 화학물질이다.
앞서 2019년 조사 때는 도내 지하수 관정 위치와 가까운 중점관리대상 토양오염원을 지도에 표시 후, 사업장의 노후화와 업종에 따른 토양오염위험도를 고려해 우선적으로 실태조사가 필요한 곳을 밝혀냈다. 그 결과 산업단지 및 공장지역 589곳, 원광석 고철 등의 보관·사용지역과 폐기물 처리 및 재활용 관련 지역 259곳, 교통관련시설은 930곳을 ‘토양오염실태조사’우선 조사지점으로 선정해 해당 시·군에 통보했다. 2018년에는 2013년부터 2017년까지의 5년 간 조사지점을 지도로 작성해 해당 시·군에 전달했다.
윤미혜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장은 “토양오염실태조사에서 GIS의 활용은 그 동안 축적돼 왔던 데이터의 공간정보를 지도에 시각화함으로써 조사지점의 위치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고, 조사지점 선정 시 지역별 고른 분포를 유도할 수 있는 유용한 방법이다”라며 “앞으로 경기도 토양오염관리정책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도록 GIS를 이용한 토양오염실태조사 데이터를 체계적으로 관리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토양오염실태조사’는 환경부에서 매년 토양오염이 우려되는 지점을 선정해 전국적으로 실시하는 조사로 경기도는 해마다 300여개 지점을 선정해 조사하고 있다.
[보도자료출처: 경기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