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NT한국뉴스타임] 서울특별시가 한강수질 개선을 위해 지난 '13년부터 추진한 ‘1단계 수질오염총량제’가 작년 연말 8년 만에 종료된 가운데, 서울을 관통하는 한강의 수질이 더 깨끗해진 것으로 나타났다.
‘수질오염총량제’는 하천으로 유입되는 오염물질의 양을 허용된 총량 이내로 관리하는 제도다. 환경부가 한강구간별 목표수질(생물화학적 산소요구량 ‘BOD’, 총인 ‘T-P’)을 정하고, 각 지자체가 이를 달성‧유지할 수 있도록 수질을 관리해야 한다. 달성하지 못했을 때엔 개발행위가 제한된다. 환경부는 '20년까지 한강 행주대교 지점(서울시‧경기도 경계)의 목표수질을 BOD 4.1㎎/L, T-P 0.236㎎/L로 제시한 바 있다.
서울시는 한강의 수질을 보여주는 ‘총인(T-P)’과 ‘생물화학적산소요구량(BOD)’ 두 개 지표 모두 환경부가 제시한 목표치를 초과 달성(2020년 기준)했다고 밝혔다.
물속에 포함된 ‘총인(T-P)’의 농도는 0.236㎎/L보다 낮은 0.114㎎/L였다. 목표 대비 51%를 초과 달성했다. ‘생물화학적산소요구량(BOD)’는 4.1㎎/L 보다 낮은 2.8㎎/L로 측정돼 목표 대비 32% 초과 달성했다. 두 개 지표 수치가 낮을수록 물 오염도가 개선돼 수질이 깨끗함을 의미한다.
목표수질 달성 여부는 최근 3년치의 수질측정 자료가 목표량에 도달했는지에 따라 결정된다. 예컨대, 2020년 목표수질은 2018년, 2019년, 2020년 측정한 수질을 모두 포함한다.
환경부는 고시한 목표수질 달성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매년 8일 간격으로 연간 30회 이상 BOD, T-P를 측정하고 3년치, 총 90회 이상의 데이터를 평가한다.
특히 2017년을 기준으로 두 개 지표가 목표보다 더 낮은 수치로 점점 개선되는 양상을 보였다. BOD는 2016년 4.5㎎/L에서 2017년 3.8㎎/L로 개선된 데 이어, 2018년 3.0㎎/L, 2019년 2.8㎎/L. 2020년 2.8㎎/L로 계속해서 감소했다. T-P는 2016년 0.288㎎/L에서 2017년 0.236㎎/L, 2018년 0.149㎎/L, 2019년 0.126㎎/L, 2020년 0.114㎎/L로 점점 감소했다.
한강수질 개선 효과는 서울시가 수질오염총량제 시행과 함께 수질오염 저감을 위한 다각도의 정책을 펼친 것이 한 몫을 한 것으로 분석된다. 법정기준보다 강화된 4개 물재생센터 수질 방류 4만 6천톤 규모 CSOs(합류식 하수관거 월류수) 저류조 설치 82개 수질측정망으로 수질 감시 등의 정책을 병행해서 펼쳐왔다.
우선 서울시내 4개 물재생센터의 방류수 수질 기준을 하수도법상 기준(BOD 10㎎/L 이하) 보다 강화해 엄격하게 관리하고 있다. 중랑 5.9㎎/L, 서남 6.3㎎/L, 탄천과 난지는 각각 7.0㎎/L로 낮춰 방류했다.
강우 시에 하천에 유입되는 비점오염원도 집중 관리하고 있다. 강우 초기 고농도 하수(빗물%2B오수)를 임시 저장했다가 비가 그친 후 물재생센터에 보내는 기능을 하는 ‘CSOs 저류조’를 '19년 양평1유수지에 준공해 가동 중인데 이어, 현재 2개를 추가 조성 중이다.
CSOs는 평상시 하수관로 내에 침전된 고농도의 유기성 퇴적물이 비가 내리면 늘어난 유량으로 인해 물재생센터로 유입되지 못하고 하천으로 직접 유입되어 악취 및 물고기 집단폐사 등의 원인이 되는 비점오염원이다.
수질 변화를 빠르게 파악해 문제 발생 시 즉시 조치하기 위한 ‘한강 지천 그물망식 수질측정망’도 총 82개를 구축해 운영하고 있다. 2018년 5월부터 자치구와 협력해 한강으로 유입되는 지천에 대한 수질을 통합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있다.
82개 수질측정망 중 법정측정망은 31개소, 서울시 자체 측정망은 51개소다.
자동측정은 한강 2개소, 지천 3개소, 상수원수 5개소 총 10개소이며, 나머지 72개소는 직접 현장에서 채수해 측정하고 있다.
매월 측정된 수질검사 결과는 하천 수질관리를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되며 홈페이지 ‘물순환정보공개시스템을 통해 시민들에게 공개하고 있다.
서울시는 1단계 종료에 이어, 올 하반기 2단계(2021년~2030년) 수질오염총량제 시행계획을 수립한다. 환경부에서 제시한 2030년 목표수질을 달성하기 위해 다양한 어종들이 서식하는 깨끗하고 안전한 수질환경으로 거듭날 수 있도록 다양한 수질개선 방안을 발굴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한편, 서울시는 시민들이 수질의 상태를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통합수질지수’를 올 하반기 중 ‘물순환정보공개시스템’을 통해 공개한다. 보건환경연구원과 서울시립대가 공동 개발했다. 하천의 오염도에 따라 매우 나쁨은 빨간색, 매우 좋음은 파란색으로 표현해 쉽게 수질을 확인할 수 있다.
통합수질지수는 4개 주요 수질항목(총유기탄소량(TOC), 총인, 총질소, 분원성대장균군)을 하나의 등급으로 통합해 수질상태를 종합 평가한 것이다. 총 5개 등급으로 나눠 시각화했다.
시민들에게 수질측정 단위가 생소한 만큼, 시민들이 내 집 주변 하천의 수질을 보다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자는 취지로 개발됐다.
서울시보건환경연구원 이목영 물환경연구부장에 따르면 “시민들이 내 집 주변 하천 환경에 좀 더 관심을 가질 수 있도록 ‘수질 정보를 보다 쉽고 직관적으로 알 수는 없을까?’라는 고민 끝에 통합수질지수가 탄생했다.”고 개발 배경을 설명했다.
‘통합수질지수’를 적용해 2020년 7개 수계 58개 수질 측정 지점을 평가한 결과, 백운천을 포함한 5개 지점은 ‘매우 좋음’, 도봉천 등 48개 지점은 ‘좋음’으로 나타났다. 모든 하천이 ‘보통’ 이상의 양호한 수질을 보였다.
최진석 서울시 물순환안전국장은 “서울시가 한강수질 관리를 위해 13년부터 시작한 1단계 수질오염총량제가 8년 만에 종료됐다. 물재생센터의 방류수 수질을 법정 기준보다 강화하고, CSOs 저류조를 새롭게 조성하는 등 다각도의 노력을 통해 목표치를 초과 달성, 한강이 더 깨끗해진 것으로 나타났다”며 “서울시는 앞으로 4개 물재생센터에 총인처리시설을 설치하고, 추가로 응봉유수지 및 휘경유수지 지하에 CSOs 저류조를 건설해 2단계 총량제 목표수질을 달성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보도자료출처: 서울특별시]